본문 바로가기
뮤지컬 연극 공연소식

엘튼존 과 팀라이스의 만남 화려한 음악의 아이다

by 코무니카 2023. 3. 28.

 

 

 

 

엘튼 존이 작곡, 팀 라이스가 작사에 참여한 뮤지컬 아이다의 화려한 음악과 스토리 제작 비하인드 스토리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보자.

 

 

작품의 제작배경과 스토리

이탈리아의 작곡가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아이다"를 원작으로 이 작품에 여러 차례 출연한 바 있는 미국의 소프라노 레온타인 프라이스가 어린이들을 위해 쓴 "아이다"를 모티브로 제작되었으며 원래 애니메이션 영화로 제작을 하기로 하였으나 엘튼존의 의견을 받아들인 디즈니가 뮤지컬로 제작하게 되었다. 스토리는 고대 이집트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이집트의 장 라다메스와 누비아의 공주 아이다가 서로 사랑에 빠지는 설정을 가져가고 있다. 하지만 이 둘 사이에는 누비아의 구원을 외치는 포로가 된 백성들과 이집트의 장군인 라다메스를 사랑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에서의 죄책감과 책임감등이 그들의 사랑을 더욱 힘겹게 만든다. 이러한 사랑과 복잡한 이해관계를 다루는 작품임에도 작품은 엘튼존과 팀라이스의 아름다운 음악과 잘 어우러져 지금껏 전 세계에서 사랑을 받고 있다. 아이다"의 매력은 서로 다른 문화와 출신을 가진 인물들이 만나는 과정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용서하는 과정을 그린다는 점이다. 캐스팅 과정에서도 다양한 인종의 배우들을 캐스팅하여  다양한 문화 간의 이해와 조화를 강조하는 작품으로도 평가됩니다.

 

 

작품 속 엘튼 존과 팀 라이스의 조화로운 음악들

작품에서 엘튼 존과 팀 라이스가 작곡한 음악 중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로 "Elaborate Lives"를 꼽을 수 있다. 이 곡은 라다메스가 사랑을 고백하고 그에 아이다도 그 마음에 화답하며 함께 부르는 곡으로 이 둘은 같이 산 채로 묻힌 뒤 반복한다. 전체적으로 점점 더 높아지는 곡조와 함께 두 주인공의 서로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이 곡은 뮤지컬 전체에서 가장 인상적인 노래 중 하나로, 두 주인공의 감정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면서도 일관성 있는 멜로디 라인으로 그 구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Written in the Stars"도 라다메스와 아이다의 사랑을 더욱 깊이 있게 다루고 있는 곡입니다. 이 곡은 두 주인공이 서로를 사랑하면서도 그들의 현실적 이해관계 때문에 서로 이룰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서정적인 분위기와 함께 감동적인 가사와 멜로디를 가지고 있어, 뮤지컬 전체에서 가장 인상적인 곡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마지막으로 "Dance of the Robe"는 아이다가 누비아 인들이 아이다가 자신들을 이끌어 주기를 바라고 이러한 기대를 받아들이는 곡입니다. 이 곡은 지역적인 음악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강렬한 리듬과 함께 아이다의 독특한 보이스가 인상적입니다. 이 곡은 작품에서 가장 감동적인 장면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개해드린 엘튼 존과 팀 라이스의 넘버들은 오페라"아이다"에서 가져온 전통적인 음악 요소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두 작곡가의 독특한 감성과 음악적 취향이 돋보이는 곡들로 작품 전체의 분위기와 감동을 한층 더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출과 무대 디자인의 중요성

이 작품의 연출과 무대 디자인은 이야기의 분위기와 감정을 전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작품에서 전통적인 이집트 문화의 역사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전달하기 위해 무대 디자인에도 여러 중요한 장면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요소들 중 가장 독특하게 사용된 부분은 아이다의 국적인 누비아의 문화를 반영한 것이다. 이집트와 누비아의 문화적 차이를 강조하기 위해, 무대에서는 이집트와 누비아의 전통적인 건축 양식과 장식을 섞어서 사용하고 있다. 특히, 누비아의 전통적인 의상과 악기, 그리고 춤 등도 무대에서 자주 사용되어, 작품의 분위기와 감정을 전달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또한, 무대 디자인에서는 이집트의 신들과 관련된 요소도 자주 등장하게 됩니다. 이 작품에서는 라다메스가 이집트의 신들을 숭배하는 장면이 많이 등장하며, 이를 표현하기 위해 무대에는 이집트의 신들의 동상이나 벽화 등도 자주 사용되어, 작품의 분위기를 강조합니다. 이러한 세심한 연출들이 이집트와 누비아의 문화적 차이 또 라다메스와 아이다의 감정을 관객들에게 전달하는 데 있어서 작품의 분위기를 한층 더 풍부하게 만들어 주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