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꿀팁

5인승 이상 자동차에 꼭 구비해야 하는 차량용 소화기 알아보기

by 코무니카 2023. 5. 26.

 

5인승 이상의 자동차라면 반드시 구비해야 하는 것이 바로 소화기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있거나 알면서도 구비를 하지 않은 분들 혹은 보관방법이 잘못되신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차량용 소화기에 대해서 구입 및 보관등 다양한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소화기 구입 시 확인해야 하는 것들

2. 소화기의 다양한 보관방법

3. 사용기간 및 관리 방법

소화기 구입 시 확인해야 하는 것들

 

화재 발생 시 초기에 진압하거나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듯이 비치해야 하는 소화기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어서 구입 시 확인해야 할부분들이 있습니다. 

 

소화기는 분말형, 강화액형, 이산화탄소(CO2)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 전용 소화기는 분말형으로 모든 자동차용 소화기는 이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구입 시 자동차 겸용의 표기가 되어있는지 확인하시고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이 표시는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을 받은 제품에만 부착되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차량의 크기에 따라 구비해야 할 소화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확인해야 할 부분들이 있습니다. 분말형 소화기는 3가지의 규격으로 분류가 되는데요. 능력단위 1은 0.7킬로그램, 2는 1.5킬로그램, 3은 3.3킬로그램으로 나뉩니다.

 

차량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소화기의 크기와 구비해야 할 수량이 달라집니다. 화재 발생 시 사용돼야 할 능력에 따라 커버할 수 있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분류되어 있습니다.

 

5인승 승용차는 능력단위 1 이상 소화기 1개를 구비해야 하며, 15인승 이하의 승합차는 능력단위 1 이상 소화기 2개나 능력단위 2 이상인 소화기 1개를 구비해야 합니다. 그 이상의 16인이상 35인이하의 승합차는 능력단위 2 이상의 소화기 2개 마지막으로 5톤 이상 화물차의 경우 능력단위 1 이상의 소화기 2개나 2 이상의 소화기 1개로 15인 이하의 승합차와 동일합니다.

 

 그다음 확인해야 할 점은 화재의 성질에 따라 등급으로 나뉘는데  그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A급 일반화재로 보통 나무, 고무플라스틱 등의 일반적인 가연성 물질에 의한 화재에 사용됩니다. B급 유류화재는 기름, 페인트 등의 가연성 물질로 인한 화재일 경우 사용됩니다. 마지막으로 C급 전기화재는 전기제품이나 용품등 전기기기로 인한 화재일 경우 사용됩니다.

 

다른 화재들도 마찬가지겠지만 화재가 일어난 원인이 다양할 텐데요. 예를 들어 여름철 고온으로 인해 라이터 등의 폭발이나 배터리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제품을 구매하셔야 위급한 순간에 사용하실 수 있을 테니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소화기의 다양한 보관방법

 

위급상황시 재빠른 대처가 가능하기 위해서 소화기는 운전석이나 조수석 쪽에 두는 게 가장 좋습니다. 다른 상황이 있을 수 있으니 여러 가지 보관방법에 대해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보관하기 가장 쉬운 방법으로 글로브 박스에 방법입니다. 차량용 소화기는 크기가 그리 크지 않기때문에 글로브 박스를 사용하지 않으신다면 구입 시 사이즈를 확인하시고 보관하시면 됩니다.

 

그다음 보관 방법으로는 스트랩을 사용하여 운전석 및 조수석 발아래에 보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위급상황시 바로 손에 닿을 수 있어 신속히 대처가 가능한 위치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차량의 구조에 따라서 설치 여부를 알 수 있어 미리 확인하시고 대처하시면 되겠습니다.

 

또 다른 보관 방법은 트렁크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차량의 구조에 따라 위에 설명드린 방법들이 불가할 경우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인데요. 하지만 이경우 대처가 늦을 수 있어 위험할 수 있습니다. 혹시 모를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1가지 방법으로 생각하시면 좋을듯합니다. 예를 들어 화재 시 사용하는 소화기의 오작동이나 사용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을 듯합니다.

 

마지막으로 말씀드릴 방법은 2열 헤드레스트에 구비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쉽게 빼낼수 있는 휴대용 소화기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여러 상활들을 고려해서 설치를 해야 합니다. 사고 시 2열 동승자가 위험할 수도 있을 수 있습니다. 또 에어백의 위치도 고려하시어 선택하시는 게 좋을듯합니다.

 

 

사용기간 및 관리 방법

 

 

소화기는 기본적으로 직사광선을 피해야 하며 습기가 없는곳에 보관하여야 하며, 정기적으로 내용물이 굳지는 않았는지 흔들어서 확인해주어야 합니다. 한 가지 더 말씀드리자면 소화기에 부착되어 있는 압력계 바늘이 녹색범위 안에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녹색위치를 벗어난 경우 불량이나 문제가 발생것으로 정비를 받으시거나 교체를 권장해 드립니다.

 

국내 소화기의 사용 권장기간은 10년입니다. 하지만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에서 권장하는 바는 8년으로 기간 안에 교체하시면 좋겠지만 외부의 부식이 없거나 압력이 정상이면 사용은 가능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