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꿀팁

에너지 절약으로 매월 에너지 캐시백 현금으로 돌려받는 방법

by 코무니카 2023. 6. 9.

항상 쓰고 있는 전기 아껴서 에너지 캐시백 현금으로 돌려받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한전 에너지 캐시백이 6월 7일부터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진행되고 있는 사업 안내 및 절차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목차

1. 에너지 캐시백 사업 소개

2. 참여방법 및 적용시기

3. 캐시백 지급방법 및 기준

4. 가정에서 에너지 절약하는 방법들

 

에너지 캐시백 사업 소개

2022년부터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는 제도로서 처음시행시에는 일부 시험지역에서 아파트 단위의 단체신청만 가능했지만 시행 후 국민 반응이 좋은 까닭에 작년 7월부터 전국적으로 시행이 확대되어 단체로 가입되어 있는 아파트에 거주 중인 주민들도 중복참여가 가능합니다.

 

또한 빌라나 단독주택의 거주자도 참여할 수도록 개선되었습니다. 기존의 방식은 6개월 단위로 계산되었지만 월단위로 매월 전기세 절감량을 산정하여 매월 청구되는 전기요금 청구 시 차감되는 방식으로 고객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에너지의 소비의 절약의식을 고취시키고 전기요금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제도입니다.

 

 

참여방법 및 적용시기

우선 참여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용(가정용) 고객 중에 신청하시는 주소지에 거주 중이고 확인이 된 사용자로 신청 직전 2개년의 사용전력량 중 최소한 1년의 사용전력량이 있는 경우 참여가 가능합니다.

 

단, 고압아파트 개별세대 사용전력량 정보를 제출하지 않으신 분이나, 신규로 전기사용하게 되는 등의 사유로 지난해 1년 같은 월의 자료가 없는 분, 그리고 한전에서 시행하는 에너지절약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고객은 참여가 제외됩니다.

 

온라인으로 상시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네이버나 구글등의 포털사이트에 '한전 에너지캐시백'이나 '한전엔터'라고 검색하신 후 접속하신 후 사이트에서 회원가입을 하시면 자동으로 참여가 가능합니다. 

 

KEPCO 에너지 캐시백 사이트 ◀ 클릭하시면 바로 연결됩니다.

 

KEPCO 에너지 캐시백

 

en-ter.co.kr

 

클릭 후 표시된 부분을 클릭하시면 에너지캐시백 사이트로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전력-에너지마켓플레이스
한국전력 마켓플레이스 첫화면

 

아래 화면이 나오면 회원가입을 진행하세요. 회원가입이 끝나신 후 한 가지 후 꼭 확인하셔야 될 부분이 있습니다. 주민등록 주소확인인데요. 꼭 확인하시고 주소지에 자신의 이름이 나오는지 확인하시고 해당 부분을 체크하시면 절차는 마무리됩니다.

 

주택용-에너지캐시백-주소지확인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회원가입절차

 

가입이 완료되시면 자신의 핸드폰으로 안내문자가 오게 됩니다. 문자가 오셨다면 문제없이 가입이 완료된 것입니다.

 

에너지캐시백-가입문자
에너지캐시백 가입문자

 

모든 절차가 끝나시고 신청하신 해당일에 속하는 월부터 적용이 되지만 2023년 6월 7일부터 8월 31일 내에 신청하신 분들의 캐시백은 7월 사용량부터 적용이 가능합니다.

 

캐시백 지급방법 및 기준

위의 안내문자를 확인하시면 지급 방법에 대해서 안내를 해드리는데요. 매월 산정된 캐시백은 현금으로 지급받는 것이 아닌 청구되는 전기요금에 산정된 캐시백 금액만큼 차감되어 청구됩니다.

 

하지만 캐시백 산정기간 중에 주소지를 변경하거나 해당 주소지에 실제 거주하지 않는 고객은 지급대상에서 제외되니 꼭 확인하시고 불이익을 받지 않기를 바랍니다.

 

그다음 알아볼 내용은 지급기준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캐시백은 두가지로 나뉩니다. 기본 캐시백과 차등캐시백입니다. 기본 캐시백은 최소절감률 3%와 동일지역 참여자의 평균절감률 이상일 때 절감량 1 kWh당 30원을 지급합니다.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며 최대 절감률 30% 한도로 지급이 됩니다. 이유는 가정에서 절감이 가능한 수준을 고려하였으며, 장기출장이나 여행으로 절감률이 비정상적으로 높을 경우에 발생하는 부당한 지급을 방지하고자 마련된 기준입니다. 

 

예를 들어 평균절감률이 3%이며 절감률 40% 그리고 절감량이 400 kWh를 달성했더라도 절감률 30%에 해당하는 120 kWh를 기준으로 기본 캐시백과 차등 캐시백을 산정하게 됩니다.

 

기본캐시백에 더해 차등캐기백은 평균절감률과 상관없이 절감률 5% 이상 달성하게 되면 30% 한도를 적용하여 절감률 구간별로 1 kWh당 30~70원 차등하여 추가 지급합니다. 

 

절감률은 5%이상~10%미만일때 30원/kWh가 적용되고 10% 이상~20% 미만일 때는 50원/kWh, 20% 이상~30% 이하일 때 70원/kWh이 적용됩니다. 이 단가는 24년 1월분부터 변경될 예정입니다.

 

 

가정에서 에너지 절약하는 방법들 

에너지 캐시백 혜택을 볼려면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야 될 것입니다. 10가지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름철 실내 적정온도 26도 유지하면 0.41kWh, 사용하지 않는 조명 소등하는 방법은 0.36 kWh의 절약효과가 있다고 하며 집안에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뽑아 놓으면 0.32 kWh, 전자레인지 사용 시 해동은 자연해동으로 사용하면 0.19kWh, 비데사용 시 온열기능 끄기 0.1kWh, 세탁물을 모아서 세탁기 사용 시 0.09 kWh, 전기밥솥의 보온시간을 줄이는 것으로 0.06 kWh를 절약할 수 있으며, 전자제품 1등급 제품사용하기 하루 1.08kWh, 한 달에 32.4 kWh를 절약할 수 있고, 집안에서 시원한 차림으로 지내기로 하루 0.81kWh, 한 달 24.3 kWh, LED등 사용으로 0.54kWh, 16.2 kWh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절약들이 모여서 한달 사용량이 30 kWh 이상 절감으로 전기요금 10% 이상 절약과 전기요금은 13% 이상 절감할 수 있다고 합니다. 

 

 

댓글